예의는 형식이다. 배려를 위한 형식. 서로의 기분을 언짢게 하지 않기 위해서 갖춰야 할 최소한의 프로토콜인 셈이다. 누군가를 대하는 태도나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따라서 이 사람을 만날 때는 이렇게 대해야 하고 저 사람을 만날 때는 저렇게 대해야 한다면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거다. 특히 처음 보는 사람을 대할 때는 그 사람을 어떤 식으로 대해야 하는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를 표준화시켜 일정한 프로토콜을 만들어 놓은 다음 그것만 이행하면 어떤 자리 누구에게든 기본적인 배려는 갖춘 것으로 여기도록 약속한 게 바로 예의란 것이다.

예의라는 건 최소한의 범위에서 행해져야 한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앞서 말했듯 예의는 최소한의 약속된 프로토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 프로토콜에 형식적인 허례허식이 자꾸 덧붙여진다면 누군가를 만날 때마다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형식이 늘어날 것이고 결국에는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불필요한 절차만 증가될 것이다. 편하자고 만들어 놓은 게 예의란 건데 오히려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셈이다. 주객이 전도된 상황.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예의를 과대평가하기 때문이다. 예의를 프로토콜로 여기는 게 아니고 한 인간의 인격을 표상하는 척도 같은 것으로 여기는 것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는 어느 정도의 예의를 보여주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겸손함, 친절함, 자상함의 수준이 정해진다. 그래서 예의를 두고 과잉경쟁이 벌어진다. 최소한만 이행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겉치레들을 가져다붙임으로서 본인이 더 예의가 넘치는 사람임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런데 예의와 겸손함, 친절함 등은 거의 상관이 없다. 경험적으로만 봐도 그렇다. 주위를 둘러보면 일부 윗사람에게만 극진히 예의를 차리는 반면 다른 이들에게는 개차반 같이 구는 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오히려 능력도 없고 매력도 없는 이들이 예의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오로지 형식만 갖추면 인정받을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평가할 때는 최소한의 예의를 지켰느냐 안 지켰느냐만 따지면 된다(사실 그 기본적인 예의마저 지키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 이상을 기대하면 서로 피곤해질 뿐이다. 예의는 편해지기 위해 만든 것이다. 서로 편하기만 하면 그만이다. 사람을 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건 예의를 갖추고 난 그 다음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