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이란 공간이 통합에 기여할 것이라는 낙관론은 한물간 것 같다. 인터넷이 처음 등장할 땐 모두가 확장, 확대 같은 개념에 주목했다.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고 다양한 정보가 쏟아졌던 그 시기를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방대해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흡수·처리하면서 자신의 저변을 확대해 나갈 것인지가 중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정보라는 건 이미 사람들을 질식시킬 듯 가득 차 있다. 더 이상 중요한 건 확장이나 확대 같은 개념이 아니다. 중요한 건 선택과 집중, 집적화 같은 것들이다. 자기에게 필요한 또는 자기가 원하는 정보를 선별해서 취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온라인이란 공간이 결국은 유유상종의 장이 될 가능성이 큰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제 흡수하는 것보다는 한 점을 찾고 그 점에 집중하려 한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아침마다 배달 오는 신문 하나가 전부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스마트폰 하나로도 과거의 신문과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볼 수 있게 됐다. 오히려 특정한 취향이나 기준이 없으면 어느 정보를 먼저 받아들여야 할지 모를 정도가 됐다. 마치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볼 때도 대게 각자가 선호하는 포털이나 언론 사이트를 통해서 각자가 주목하는 분야 위주의 뉴스를 보기 마련인 것처럼.

온라인이란 공간이 처음 등장할 때 많은 사람들은 이를 그리스 아고라에 비유했다(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자유롭고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합의를 도출해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마치 광장 민주주의가 재현된 것처럼. 그리고 이런 가능성들이 어느 정도는 현실화되기도 했다. 실제로 지금처럼 개인이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고 생각을 교환한 시대는 없었다.

(전에 포스팅 했던 것처럼)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보다 자신과 생각이 같은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려 한다. 대립되는 의견을 수용하고 토론을 하기보다는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내 생각을 공고화하는 것이다.

아고라는 토론과 합의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내야 하는 곳이었다. 각기 다른 입장이 생각이 어우러지는 과정을 통해 어느 한쪽만 채택이 되든지 아니면 절충점을 찾든지, 어찌 됐든 마지막으로는 하나의 결론이 도출돼야만 했던 것이다. 하지만 온라인이란 공간은 다르다. 아고라처럼 합의점을 찾아야 할 필요도 없고 결론을 낼 필요도 없다.

애써 타인의 생각을 수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학급 토론시간에서라도) 토론이란 걸 한 번이라도 해본 사람은 안다. 내 생각의 논리가 상대의 논리보다 부족하다는 걸 인정하는 게 얼마나 쉽지 않은 일인지. 또 한 번 정립한 생각을 바꾼다는 게 얼마나 간단치 않은 일인지. 사람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생각을 드러내는 건 어떤 결론을 탐색하기 위함이 아니다. 단지 나를 표현하고 싶은 욕구 때문이다.

다시 또 유유상종이 되는 것이다. 누구나 반박보다는 공감을 원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생각을 가진 이들끼리 모이게 되고 그들끼리만 소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폐쇄적인 커뮤니케이션은 극단주의를 낳게 된다. 폐쇄적인 집단은 자정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일베, 워마드, 그리고 최근에는 태극기부대까지. 모두 이렇게 탄생한 극단주의의 전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