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시스템은 일종의 보험과 같다. 사실 영화를 제작하는 건 도박에 가깝다. 아무리 큰 돈을 들인다 해도 이 작품의 흥행 여부는 짐작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작자들은 최소한의 흥행이라도 보장받기 위해 장르 시스템을 만들어냈다(다른 하나의 방법은 스타 시스템). 기존에 성공했던 영화들과 비슷한 스토리 구조, 주제를 반복적으로 만들며 일종의 보험을 들어놓는 거다.

예능도 마찬가지다. 떼토크가 유행일 땐 연예인이 떼로 출연하는 비슷비슷한 토크쇼가 유행하고, 군대를 체험하는 리얼 예능이 대박을 치자 경찰서, 소방서, 일반 회사생활을 체험하는 비슷한 예능이 생겨나고, 경연 포맷이 유행일 땐 비슷비슷한 경연 프로그램이 유행하고, 먹방이나 쿡방이 유행일 땐 음식을 요리하고 먹고 파는 예능들이 넘쳐난다.

장르를 기준으로 봤을 때 나영석은 장르 안에 있다. 그는 변용의 대가다. 장르의 큰 틀은 유지하되 그 안에서 다양한 응용과 변화를 통해 대중이 원하는 걸 정확히 짚어낸다. 여행 프로그램이지만 출연진을 캐릭터화하고 각종 게임 형식을 통해 대중적인 재미를 이끌어내고, 원로 배우와 배낭여행이란 생소한 조합을 통해 신선함을 주기도 했다. 또 삼시세끼나 최근의 스페인하숙처럼 직장인들이 갖고 있는 목가적인 삶에 대한 로망을 쿡방과 접목시켜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같은 여행 예능, 쿡방 예능이더라도 새로운 요소를 가미하거나 응용함으로써 본인만의 차별화를 만들어내는 거다.

반면 김태호는 창작의 대가다. 정해진 장르에 갇혀있지 않고 항상 새로운 주제와 형식을 만들어내려고 한다. 무한도전은 정해진 장르가 없었다.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표방했지만 사실 그 말 자체가 무형식, 무포맷이란 의미인 것처럼 다양한 예능적 실험을 했다. 그리고 그 변화무쌍함 가운데서도 재미와 웃음을 잃지 않았다. 일정하게 정해진 포맷의 예능이라 하더라도 주마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만드는 건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주마다 새로운 포맷과 아이템을 고민하고 기획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한다는 건 정말 소수만이 할 수 있는 일이고 거기다 재미까지 잃지 않는 건 극극극소수만이 할 수 있는 일일 거다.

요즘엔 TV를 틀면 채널을 아무리 돌려도 음식만 나온다. 음식을 요리하거나 먹거나 팔거나 파는 걸 도와주거나. 이럴 땐 무한도전 같은 프로그램이 생각날 때가 있다. 유행도 과한 일변도면 쉽게 질림에도 불구하고 기류에 편승해서 쉬운 방법만 좇는 건 아닌지. 채널도 많아지고 프로그램도 많아졌는데 매번 채널을 돌릴 때마다 볼만한 게 없는 것도 그 때문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