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수한 민족’이란 말을 거리낌 없이 쓴다. 너무 흔하게 쓰는 말이기 때문에 놓치기 쉽지만, 사실 이런 표현은 다분히 민족차별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우수한 민족이 있다는 건 반대로 하등한 민족이 있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민족성에 우열이 있다는 의미다. 나치즘과 다를 게 없다. 나치가 수백만의 유태인을 학살할 수 있었던 건 이런 발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만큼 위험한 생각이다.

더구나 제국주의의 피지배를 경험했던 곳에서 이런 민족차별적인 발상에 무감각하다는 건 의아한 일이다. 굳이 나치즘의 사례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리는 일제의 민족차별을 직접 겪은 바 있다. 조선민족은 스스로 일어설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일제의 도움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게 민족개조론이었고 이는 식민통치의 정신적 근거가 되기도 했다. 우리가 봤을 땐 터무니없는 미친 소리에 불과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또한 일제와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발상이 왜 문제냐면 우열을 가리는 태도는 결국 스스로를 열등감에 가둘 수 있기 때문이다. 민족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혈안이 되어있다는 건 그만큼 우리 스스로가 우리 민족의 위상을 낮게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우리 주위만 봐도 그렇다. 스스로 만족하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잘난 점을 굳이 알리지 않아도 된다.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잘난 체를 하는 사람은 정말 잘난 사람이 아니라 어중간한 사람인 경우가 많다. 스스로 열등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나은 위치로 높은 위치로 본인을 어필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민족의 우수성을 알리려고 한다는 건 우리가 그만큼 서구에 대해 열등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재밌는 건 김치, 비빔밥, 불고기 등이 한국의 대표음식으로 소개되는 것도 이런 열등감과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사실 어떤 나라의 대표음식이라는 건 그만큼 그 나라 사람들이 자주 먹는 음식이라는 걸 뜻한다. 베트남이라고 하면 쌀국수가 떠오르고 이탈리아라고 하면 파스타가 떠오르는 건 그만큼 그 나라 사람들이 그 음식을 주식처럼 자주 먹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치를 제외한) 비빔밥, 불고기, 갈비 등을 그렇게 자주 먹는 음식이라고 보긴 힘들다. 비빔밥보단 그냥 밥에 국찌개를 훨씬 자주 먹고 불고기보다는 치킨이나 삼겹살을 훨씬 많이 먹는다.

자주 먹지도 않는 비빔밥이나 불고기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꼽히는 건 의도적인 선택의 결과물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누가 보더라도 정갈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음식만을 골라서 일종의 이미지 메이킹을 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한국에서 실제 자주 먹고 있는 음식들, 예를 들면 순대(국)이나 (한국화된) 치킨, 삼겹살, 게장, 개고기, 번데기 같은 음식들을 선보이거나 홍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보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식재료나 조리방법으로 만든 음식이기 때문에 서구에 비해 미개한 음식, 열등한 음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외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소개되는, 아니 광고까지 하면서 전략적으로 홍보되는 비빔밥이나 불고기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이런 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을 (명동을 제외하고) 찾아보기 힘든 촌극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수함이라는 실체 없는 대상에 대한 집착이 어떤 상황을 낳는지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다.

애초에 우수하고 열등한 민족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는 민족이란 개념도 베네딕트 앤더슨이 말한 ‘상상적 공동체’에 불과하다. 민족이란 사실 실체가 없다. 그냥 믿는 것뿐이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들끼리 본인들은 같은 민족이라고 믿는 것처럼. 어쨌든 우수하거나 열등한 민족은 있을 수 없고 다만 각자의 환경에서 각자의 방식대로 적응한 사람들만이 있을 뿐이다. 적도 부근의 지역이 경제력도 낮고 산업화가 덜 됐다고 해서 북반구의 선진국보다 열등한 지역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왜냐면 개인의 행복도나 삶의 만족도는 북반구보다 적도 지역이 훨씬 높게 나오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들은 부지런하게 공장을 돌리고 일을 할 필요가 없었다.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온난한 기후 탓에 배를 굶거나 추위에 떨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항상 부족함을 느끼는 건 오히려 북반구 지역들이다. 중상주의나 자본주의란 시스템은 항상 식민지나 수출시장을 필요로 해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김치를 먹는 건 우리가 우수한 민족이기 때문이 아니고 우리가 개고기를 먹는 것도 우리가 열등한 민족이기 때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유럽지역의 식문화를 굳이 동경할 필요도 없고 마찬가지로 기이한 식재료를 사용하는 중국의 음식들을 미개하다고 볼 이유도 없다. 그냥 각자의 방식대로 각자의 생활양식을 영위할 뿐이다. 그럼에도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열등감에 휩싸이거나 다른 이들을 손가락질 하는 건 자신에게 스스로 꼰대짓을 하는 것이나 다름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