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탈브라 운동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옷의 종류만 다를 뿐 탈브라든 탈코르셋이든 지향점은 결국 같기 때문이다. 여성은 반드시 예쁘게 보여야 한다는 사회적 당위가 있었다. 그런데 중요한 건 여기서 말하는 ‘예쁘다’의 기준을 여성들 스스로가 정하는 게 아니고 남성중심의 사회가 결정해왔다는 점이다. 스스로 자신의 아름다움을 정립하지 못하고 철저하게 타인의 기준에서 아름다움을 강요당했던 여성들이 자기구속적인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쳤던 게 바로 탈코르셋 운동이었고, 약간의 시대 배경만 바뀌었을 뿐 탈브라 운동이 지향하는 바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굳이 탈브라 운동을 반대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박수를 쳐주고 싶다.

하지만 일부 급진적인 페미니스트(사실 말만 페미니스트일 뿐 이들의 사고방식은 페미니즘이 아니라 혐오증, 포비아에 더 가까운 경우가 많지만)들이 이야기하는 탈브라 운동은 초점이 조금 벗어난 것 같다. 본래 탈코르셋 운동의 본질은 ‘아름다움의 기준은 내 스스로 정한다’는 것에 있었다. 자신을 옭아매는 타인(남성)의 기준에서 벗어나 스스로 가치를 매기고 스스로 결정해서 스스로 행동하겠다는 것이다. 이건 한 마디로 ‘자유’에 대한 갈망이다. 하지만 탈브라 운동을 벌이는 일부 페미니스트들을 보면 그들이 주장하는 건 ‘자유’에 대한 갈망이 아니라 ‘혐오’의 재생산에 더 가까운 경우가 많다.

이들이 탈브라 운동이라고 하면서 하는 행동은 머리를 짧게 깎고 티셔츠에 바지를 입고 잘 씻지 않고 배가 나와도 몸관리를 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화장을 하거나 원피스를 입는 여성들, 그러니까 전통적 개념으로서 예쁘게 보이려고 하는 여성들을 배신자처럼 몰아붙인다. 그런데 웃긴 건 짧은 머리에 배 나온 몸매로 티셔츠와 바지를 입는 게 바로 전형적인 남성의 모습이라는 점이다. 겉으로는 자율과 자립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은 그들이 혐오하는 남성(좀 더 구체화한다면 중년의 아재)의 형상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하고 있는 것이다. 요즘 많이 쓰는 말로 ‘미러링’이라고나 할까. 이건 ‘너희 남자들만 편하게 다니는 게 배 아프니까 우리도 똑같이 하겠다’는 유아적인 사고방식에 불과하다.

탈브라 운동에서는 혐오가 아니라 자유를 이야기해야 한다. 나만의 길을 가겠다는 것, 남이 어떻게 보든 상관하지 않고 내 스스로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걸 추구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혐오하는 대상이 되어서 혐오를 부정하기보다 자신만의 가치를 정하는 게 더 중요하다. 니체로 말하자면 노예가 아니라 주인의 의식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열등감이나 피해의식을 갖고 있다는 건 결국 무의식적으로 남성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따라서 혐오나 열등감 같은 감정을 시작점으로 해서 진정한 자유를 얻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페미니즘 운동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아쉬운 생각이 드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집단적 열등감에 젖어있는 페미니즘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여성의 해방과 자유를 얻기 힘들다. 기존의 질서를 타파하고 거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남성 혐오 혹은 반남성주의라는 또 다른 굴레에 스스로를 가둬버리고 마는 것에 가깝다. 페미니즘의 목표는 기존의 편협한 사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시야를 갖고 더 넓은 지평을 여는 것에 있다. 탈브라 운동도 마찬가지다. 탈브라 운동의 동력은 혐오가 아니라 자유로의 추구에 있어야 한다. 여성이 당당하고 멋있을 수 있는 건 남성과 같은 여성이 될 때가 아니라 새로운 여성이 될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