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매스컴이 정보를 독점하고 있었다. 매스커뮤니케이션이란 사전적 의미 그대로 대중은 매스컴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언론사라는 개념을 단순한 ‘기업’의 개념보다는 하나의 ‘기관’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어느 정도의 공적인 책임성, 신뢰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언론사마다 데스크를 두고 뉴스를 자체 검증하는 것도 보도의 책임과 신뢰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디어의 양상이 많이 바뀌었다. 정보를 전달하는 건 언론사 같은 소수의 매스컴만이 아니다. 개인들도 대중을 상대로 정보를 만들고 전달하는 게 용이해졌다. 유튜브처럼 개인이 다수에게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플랫폼들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인플루언서’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이제는 1인 미디어도 대중을 상대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작용도 만만치 않다. 1인 미디어에게는 언론사처럼 정보를 자체검증하는 시스템이 없다. 아무런 견제장치 없이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편집되고 만들어질 뿐이다. 그만큼 무분별한 콘텐츠가 양산되고 저질 정보가 범람하고 있다. 더 심각한 건 질적 수준을 넘어서 가짜 정보까지 난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해관계에 따라 특정한 의도를 갖고 사실이 아닌 정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일종의 사기행위에 가깝다. 선거 때마다 기승을 부리는 가짜뉴스들처럼 말이다.

실제로는 터무니없는 주장과 논증을 겉으로만 그럴듯하게 구성해서 거짓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정말 짧은 시간만 투자해도 사실이 아니라는 걸 충분히 알 수 있는 내용이라 하더라도 사람들은 전달되는 정보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튜브를 애용하는 노년층이 콘텐츠 제작자의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것처럼 말이다.

중요한 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자세다.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게 아니고 자기 나름의 기준에 따라 검증을 하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요즘처럼 온갖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난무하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비판적 의식이 없는 사람은 마치 사이비 교주에게 눈물을 흘리며 모든 걸 갖다 바치는 신도와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의식이 부재하면 주체성을 잃게 된다. 누군가의 목적에 따라 세뇌당하고 이용당하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오랜 시간 집단주의, 일체주의적 생활양식을 양위해왔다. 때문에 ‘비판적’인 사람은 곧 ‘비관적’ 혹은 ‘부정적’인 사람으로 연상되는 인식이 있었다. 단일의 사상, 일체된 사고가 중요시 됐던 시대의 단면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 사회는 개인화, 다원화되었다. 본래 민주사회란 건 개인의 가치판단이 중요한 사회다. 그만큼 개인의 올바른 사고, 비판적 의식은 필수적인 덕목이다. 비판의 영역이 클수록 사회는 그만큼의 발전의 여지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