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지식의 축적은 주로 인간의 두뇌에서 이루어졌다. 그만큼 노인은 많은 경험을 한 사람, 그러니까 많은 것을 아는 사람이었다. '한 명의 노인이 죽으면, 하나의 도서관이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아프리카 속담처럼. 늙어간다는 건 곧 현명해진다는 걸 의미했다. 노인을 공경해야 한다는 건 그가 보호받아야 할 약자라서가 아니었다. 노인이 갖고 있는 지혜를 존중하라는 의미였다. 젊은 세대는 노인들로부터 혜안을 얻었다.

하지만 '늙음=현명'은 지금의 세상에선 통하지 않는 도식이 되었다. 노인은 더 이상 현명하지 못하다. 노인이 많은 경험을 갖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을 근거로 뭔가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아졌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경험으로 현재를 재단하는 건 불가능해졌다. 지식의 축적을 인간의 두뇌에만 의존했던 것 또한 과거의 일이 되었다. 이제는 그 역할을 메모리칩이 대신하고 있다. 궁금한 게 있으면 노인에게 묻는 것보다 인터넷을 뒤지는 세상이다. 냉정하게 말해, 늙었다는 이유만으로 존경받을 수 있었던 세상은 끝난 셈이다.

'노인'이라는 말이 다른 말들로 대체되기 시작한 것도 이 시점부터다. 더 이상 '늙음', '늙은 사람'이란 의미에 메리트를 느낄 수 없어졌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노인들 스스로도 노인이라는 말을 싫어하게 됐다. 노인이라는 말을 스스로 탐탁치 않게 여긴다는 건 '늙음=현명'의 도식이 이제는 유효하지 않다는 걸 자인하는 것이었다. 결국 '노인'란 말은 다른 말들로 활발하게 대체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건 '어르신'이란 용어다. 그래서 이미 많은 관공서의 팻말에는 '어르신복지과'라는 요상한 부서명이 새겨져 있다.

그런데 어르신은 상대적인 개념의 어휘이다. 어르신이 있다면, 아랫사람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단어를 부서명처럼 중립적인 언어의 영역에서 사용한다는 것도 웃긴 일이다.) 따라서 스스로를 어르신으로 불리고 싶다는 건 결국 한 가지 이유에서다. 아랫사람에게 웃어른으로서 존경받고 싶다는 것. 그래서 '어르신'이란 말은 더 공허해진다. 모순을 갖고 있는 말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어르신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어르신으로 불려야 하는 애달픈 모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