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식당' 프로그램을 즐겨 본다. 예능을 챙겨보는 편은 아니지만, 언제부터인지 골목식당은 빠짐없이 보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메시지가 좋아서 그랬던 것 같다. 표면적으로는 요식업에 대한 노하우나 골목상권 재생에 관해 다루는 듯하지만, 이 프로그램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건 직업의식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평생고용이 사라지고 요식업은 핫한 직종이 되었다. 퇴직자들이 저비용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대학을 졸업하면 취직을 하는 것처럼 퇴직을 하면 요식업을 시작하는 게 보편적인 생계 루트가 되었다. 요식업에 어떤 뜻을 갖고 뛰어든 게 아니라, 단지 생계를 위해 떠밀리듯 시작한 것뿐이다. 그런 이들에게 음식에 대한 애착, 위생관념, 적극성 등이 부재한 건 당연한 일이었다. 때문에 골목식당에서도 노하우보다는 직업적인 자세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백종원이 식당 주인들에게 전수하는 건 레시피만이 아니다. 그는 요식업에 대한 직업의식, 음식이나 손님을 대하는 태도를 가르치려 한다. 책임감을 갖고 고민하며 정성껏 음식을 만들고 그것을 맛있게 먹는 손님의 피드백에 보람을 느낄 줄 아는 마음가짐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백종원도 이런 태도를 갖춘 주인들에게는 어떤 도움이든 마다하지 않는다. 이들은 백종원이 힌트를 주지 않아도 언젠가는 일정한 위치에 다다를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가 하는 건 시행착오의 시간을 줄여주는 것뿐이다.

직업의식이라는 건 사실 요식업이나 자영업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강조되어야 할 가치다. 속물적인 직업관이 팽배한 이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 사회에서 직업에 대한 잣대는 철저하게 타자적 기준으로 평가된다. 판검사나 의사, 교수처럼 명예롭거나 잘나가는 사업가처럼 돈이 많거나, 그게 아니면 남들처럼 건실한 회사를 다니거나 공무원이 되거나. 진로를 설계하는 데 있어 정작 중요한 내면적인 기준들, 예를 들어 적성이나 성취감 같은 문제들은 철저히 외면당하는 것이다.

물론 모두가 적성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밥벌이라는 게 기호나 취향을 따질 정도로 만만하지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업의식이라는 건 단순히 좋고 싫음의 문제 그 너머에 있는 가치다.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어떤 직업이 주어진 상황에서 그 일에 어느 정도의 애착을 가질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는 삶 자체에 대한 태도와도 비슷하다. 삶이라는 것도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특정한 모습으로 내게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삶을 포기한 사람들은 아무런 가능성 없이 무기력한 세월을 보내는 것처럼, 일에 대한 애착이 없는 사람 또한 단지 돈이나 밥벌이에 급급한 속물적인 인간이 되고 마는 것이다.

골목식당을 보며 시청자들이 흐뭇함을 느끼는 것도 식당 주인들의 달라진 태도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흐뭇함은 대박을 향한 값싼 대리만족 같은 게 아니다. 그건 속물의 영역이다. 그걸 넘어서 시청자들이 깊은 울림을 느끼는 건 음식장사 자체를 대하는 그들의 자세와 의지가 달라졌기 때문에, 그리고 그 변화로 스스로가 행복해 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