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는 무대를 비춘다. 무대는 보여지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무대는 방송국이라는 전체 공간에서 극히 일부만을 차지한다. 무대의 반대편에는 수많은 카메라와 스탭이 있고 그 이면에는 대기실, 분장실, 편집실 등 다양한 공간이 분주하게 움직인다. 하지만 항상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무대일 뿐이다.

무대에서 쇼가 보여지기 위해서는 상당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드라마의 경우에는 배우들이 대본을 외우고 연기를 연습하고 만들어진 세트에서 연기를 하고 그것을 촬영을 해서 녹화하고 편집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능이나 뉴스도 마찬가지다. TV에 송출되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송출되는 시간보다 몇 배 혹은 수십 배의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TV에는 아이돌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어떻게 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게 아이돌이지만, 사실 TV는 아이돌 자체만을 비출 뿐, 그 아이돌이 있기까지의 이면을 비추지는 않는다. 이 아이돌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수많은 연습생들의 실패나, 데뷔까지 오랜 시간 연습하고 땀을 흘려야 했던 인고의 시간들은 절대 보여지지 않는 것이다. 절망스런 과정은 보이지 않고 오로지 밝은 결과만을 비춰주는 거다.

TV라는 건 빙산의 일각만을, 아니 빙산의 일각의 일각의 일각만을 비춰준다. 아름답고 멋있고 좋아 보이는 극히 일부만을 보여주는 거다. 그리고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또는 습관적으로 그것을 본다. 거실 소파에 앉아 TV를 보고, 스마트폰을 통해 보고, 컴퓨터나 노트북으로도 본다. 사실 TV에서 비춰주는 빙산의 일각은 세상에서 굉장히 특별한 일부이지만 그것이 우리에게는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의 한 부분으로 매시간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이 가장 행복하거나 가장 멋있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어 SNS에 올리는 것도 이런 영향 때문이다. 사람들이 유명한 여행지에 가거나 예쁜 카페에 가서 찍은 사진들은 정지우가 말하는 '상향평준화된 이미지'다. 이런 사진을 찍고 SNS에 올림으로써 TV로 보던 이미지처럼 본인의 삶도 그런 이미지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스스로 위안을 얻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나르시시즘적인 도취는 찰나의 만족감만을 가져다줄 뿐이다. 삶은 TV와 다르기 때문이다. TV에서는 24시간 빙산의 일각만을 보여주지만, 실제 개인의 삶은 빙산의 일각 이면의 감춰진 영역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SNS에서의 '나'는 아름다운 장소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힙한 사람으로 전시되지만, 실재하는 '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일을 하거나 집에서 가사를 돌보면서 보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 삶의 모습 또한 TV가 그리고 있는 이미지에 맞춰져야 한다는 강박은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들 뿐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일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반복적이고 지루한 시간들을 견디는 건 점점 더 힘든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좋든 싫든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빙산의 일각이 아니라 감춰진 영역에서 살아야 한다. TV에서 보여주는 무대 위의 모습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따분한 일상을 살아야 한다. 따라서 일상 안에서 삶의 의미나 만족을 찾지 못하면 불행해질 수밖에 없다. 하루키의 '소확행'처럼 평범한 삶 속에서도 나름의 소시민적인 행복을 탐색해야 하는 거다.

TV도 없고 인터넷도 없었던 과거였다면 달랐겠지만, 어쨌든 지금은 빙산의 일각만이 비춰지는 세상이고 그 이미지들은 우리 주위에서 끊임없이 범람하고 있다. 거실의 TV에서도 책상의 컴퓨터에서도 그리고 구석구석을 점령한 소비 광고에서도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끊임없이 우리에게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미지와 현실의 간극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소용돌이 속에서 온전한 내 삶을 되찾는 건 점점 더 힘든 시도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