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토의 힙합은 백인 주류문화라는 타겟이 있었지만, 국내 힙합은 타겟이라고 할 만한 대상이 없었다. 레이시즘 같은 건 그저 먼 나라의 얘기에 불과했으니까. 대신 국내 힙합은 사회 전반을 타겟으로 삼았다. 제도권의 권위주의나 물신주의, 꼰대정신 같은 것들이 힙합의 재료가 된 것이다.

1020은 제도권의 외부에서 그것을 디스할 뿐이다. 아직 제도권으로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3040은 제도권 안에 있다. 사회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세대다. 그래서 제도권의 주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제도권의 가장 직접적인 피해자이기도 하다. 제도권 사회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아무런 완충장치 없이 세상의 풍파를 직격으로 맞는 것이다.

사회적인 목소리는 20대의 대학생들이 더 크게 낼지 몰라도 사회의 부조리를 직접 체감하는 건 3040이다. 단지 20대처럼 분노하고 표현하지 않을 뿐이다. 3040은 가족도 생각해야 하고 직장도 계속 다녀야 하고 주변의 눈치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가진 게 많아진 사람은 그만큼 잃을 것도 많아지고, 잃을 게 많으면 매사 조심스러워지는 게 세상의 이치인 것처럼.

자유를 갈망하는 건 1020만이 아니다. 어쩌면 3040이 더 간절할 수도 있다. 그래서 세상을 비뚤게 보고, 얽매이지 않으려 하고, 해야 하는 것보다 하고 싶은 것을 추구하는 힙합은 1020보다 3040에 어울리는 장르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