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는 순환구조라는 게 있다. 소비와 투자가 늘면 고용과 생산이 늘고 다시 소비와 투자를 촉진시키는 선순환의 고리가 있고, 소비가 줄면 투자도 줄고 고용과 생산도 줄면서 다시 소비를 저해시키는 악순환의 고리가 있다. 말 그대로 전자는 순환할수록 남는 게 생기는 호황을 말하는 것이고, 후자는 순환할수록 잃어가기만 하는 불황을 의미한다.

사람의 관계에도 똑같은 순환구조가 있다. 두 사람 사이에서 소통과 상호작용이 오갈수록 신뢰가 쌓이고 친밀해지는 관계가 있고, 반대로 상호작용을 거듭할수록 불신과 불만이 쌓이는 관계가 있다. 간단히 말해서 전자를 선순환의 관계, 후자를 악순환의 관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서로를 신뢰하고 아끼는 사람들은 선순환의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다. 심리적으로 서로 내가 주는 것보다 상대에게 받는 게 더 많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당장 내가 주는 게 더 많아도, 그러니까 손해를 보는 것 같아도 전혀 서운하거나 실망하지 않는다. 크게 보면 내가 받아왔던 게 더 많기 때문에 당장의 손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 서로 더 잘할 수밖에 없고 상호간의 신뢰는 더 돈독해질 수밖에 없다. 관계의 선순환 고리가 생기는 것이다.

반대로 심리적으로 서로 내가 받는 것보다 주는 게 더 많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악순환의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상호작용이 있을수록 내가 손해를 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불신과 원망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 내가 손해를 본 게 아니어도 관계없다. 내가 손해를 보고 있다고 느끼는 심리적 상태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악순환의 관계에 한번 빠지기 시작하면 어떤 큰 계기가 있지 않는 이상 회복하기가 힘들다.

사람이 만났을 때 선순환의 관계를 가질 것인지 악순환의 관계에 놓일 것인지는 랜덤박스와 같다. 직접 상호작용을 하고 관계를 갖지 않는 이상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다 제 짝이 있다는 말처럼 누구와도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도 또 누군가와는 무리 없이 지내기도 한다.

하지만 각각의 개인을 보면, 모든 사람에게 선순환이나 악순환의 관계를 가질 확률이 50대 50인 건 아니다. 어떤 사람은 선순환의 관계를 가질 확률이 훨씬 높은 반면, 또 어떤 사람은 악순환의 관계를 가질 확률이 높기도 하다. 예를 들어, 누구에게나 수더분하고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은 어떤 사람과 관계를 맺든 선순환의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자격지심이나 열등감에 갇혀있는 사람은 아무리 무난한 사람을 만나더라도 자칫 악순환의 관계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후자의 사람들인데, 이들은 실제로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악순환의 관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은 앞에서 말한 악순환이란 개념처럼 항상 다른 이들로부터 피해를 입고 손해를 입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왜 나는 항상 타인에 의해 고통 받아야 하는지’ 비루한 자기 연민에만 빠질 뿐, 정작 자신의 문제에 대해선 둔하고 무감각한 자세를 취한다.

중요한 건 선순환으로의 지향이다. 내가 상대로 인해 어떤 피해를 입고 있다고 생각하기보다 일단은 상대가 바라는 대로 기대하는 대로 해주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대부분은 그 노력이 상대에게도 느껴지고 상대(정상적인 범주의 사람이라면) 또한 마찬가지의 자세를 가지려 할 것이다. 그렇게 선순환의 고리가 한 바퀴라도 굴러가면 그 후는 전혀 걱정할 게 없다. 관성이라는 불변의 법칙이 알아서 순환을 지속시켜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