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철저하게 사랑을 다룬 이야기다. 장르를 따지자면 멜로영화다. 전반부는 해준(박해일)의 사랑이, 후반부에는 서래(탕웨이)의 사랑이 그려진다. 그리고 이 두 부분은 남과 여, 산과 바다, 만남과 상실, 관음과 노출의 대조 속에서 완벽한 형식미를 갖춘다. 먼저 등장했던 게 나중엔 어떤 대구법으로 돌아오는지 의미를 찾는 관객들의 유희 속에서 영화의 샷, 앵글, 구도는 하나하나 메타포로 기능한다.
안개는 해준의 테마다. 그래서 해준은 안약을 넣는다. 뛰어난 형사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에 대한 진실은 보지 못한다. 서래가 증거를 없애기 위해 자신에게 접근한 것도 보지 못하고, 서래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살인을 한 것도 보지 못한다. 해준에게 서래는 안개 속의 여자다. 그리고 그 안개가 걷혔을 땐 이미 서래도 자신처럼 붕괴된, 아니 자신보다 더 철저하게 붕괴된 뒤였다.
이루어질 수 없었던 사랑은 스스로를 붕괴시키면서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다. 처연하게 바닷가를 헤매는 해준을 보며 관객은 느낀다. 보기 좋고 예쁜 것만 아름다운 게 아니란 사실을. 그리고 새삼 깨닫는다. 결국 박찬욱의 영화였다는 것을. 2022년 한 해 봤던 영화 중에 가장 좋았던 작품.
문학보다 영화가 좋은 건 배우의 연기를 볼 수 있어서다. 소설 속 인물은 머릿속으로 그려질 뿐이다. 하지만 영화 속 인물은 배우를 매개로 살아 숨 쉬게 된다. 텍스트만으로는 절대 전할 수 없는 영역을 표현하는 거다.
한결같음을 미덕으로 여기지만, 실제로 그런 사람은 없다. 동화처럼 단면의 세상을 사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실재하는 삶을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중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부모를 마주하는 나와 아이를 마주하는 나는 다른 사람일 수밖에 없는 것처럼.
영화는 소설보다 입체적인 인물 묘사에 유리하다. 하나의 문장으로 이중적 표현을 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배우의 연기는 그것을 가능케 만든다. 이 작품처럼 남성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여성성을 보여줄 수도 있고 강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약함을 드러낼 수도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점차 양쪽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든다. 진정한 남성성이란 게 대체 무엇인지. 강하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심지어 어떤 게 선이고 어떤 게 악인지. 설명하기보다는 그냥 보여줄 뿐이다. 배우의 연기로, 그리고 조니 그린우드의 음악으로, 마치 “영화란 이런 걸 표현하는 거란다”라고 말해주는 것처럼.
도덕적 딜레마를 쉽게 생각했던 것 같다. 강요된 집단자살을 숭고한 희생으로 미화한 건 불편하다못해 위험해 보이기까지 했다. 우리에게는 소수의 희생을 당연한 걸로 생각하던 권위주의의 상흔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재림은 그의 초기작들('연애의 목적'이나 '우아한 세계')처럼 실제 옆집에 살고 있을 법한 평범한 인간군상을 다루는 것에 더 소질이 있는 것 같다. 한재림의 오래된 팬으로서 다음 작품에서는 왕이나 국토부장관이 아니라 평범한 아저씨, 아줌마가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황정민이 박해수를 만난 순간부터 영화가 갈 길은 정해진다. 그 이후부터는 변명만 남는다. 왜 그 길로 가야만 하는지. 수리남이라는 배경과 기시감 어린 캐릭터들은 단지 그 길을 위해 소모될 뿐이다.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주기보다 왜 이런 이야기가 되는 건지 설명해주는 느낌.
윤종빈이 공작에서 선보인 서스펜스는 수리남에서도 자기복제된다. 공작에서의 언더커버가 황정민이었다면 수리남에서는 하정우가 그 역할을 맡는다. 절대권력자를 동요시켜야 하는 언더커버의 페이소스가 반복될 뿐.
물론 변명과 자기복제를 좇는 것만으로도 6시간은 금세 지나가버린다. 그만큼 재밌고 흡인력이 있기 때문이다(영화든 시리즈든 일단 재밌고 봐야 한다). 하지만 물 만난 고기, 아니 넷플릭스를 만난 윤종빈이라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드는 것도 사실. 윤종빈처럼 젊은 천재형 감독이 벌써 자기복제를 하거나 쉬어가는 작품을 만든다는 건 직무유기다.
영화에서 서복은 말한다. “나는 무언가가 되고 싶었어요,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무언가가.” 하지만 이 대사의 화자는 서복이 아니라 영화 자체인 것 같다. 영화가 관객에게 하는 변명으로 들린다. 끝내 무언가가 되지 못하고 죽어버린 서복처럼 이 작품도 의미를 찾기 전에 자폭하고 말기 때문이다.
영화는 삶과 죽음, 실험체 윤리, 인류의 영생, 국가윤리, 양심과 탐욕 등 SF 장르가 다룰 수 있는 소재는 거의 전부 건드려 놓는다. 그리고 수습이 되지 않자 모든 인물을 한 곳에 모아 폭발시킨다. 그리고 서복마저 없애버린다. 장황한 세계관치고는 무책임한 결말이다. 가장 손쉬운 마무리니까.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방식도 투박한 편이다. 복제인간에 관한 철학적 고민을 영화 속 인물이 전부 이야기해버린다. 그래서 이 작품에는 여운이 없다. 영화를 본 후 관객의 머리에 남아야 할 질문들을 인물의 대사가 직접 말해버리기 때문이다.
삶이 무엇인지, 죽음이 무엇인지, 영생은 무엇을 가져올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은 직접적인 대사가 아니라 메타포로 그려져야 한다. 영화의 서사, 인물, 이미지, 분위기는 그 메타포를 위해 쌓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무게감은 작품의 깊이를 만든다. 좋은 작품을 본 후의 묵직한 뒷맛은 여기서 오는 거다.
예를 들어 ‘기생충’에서는 “가난하다는 게 어떤 의미야?”라고 묻지 않는다. 대신 가난을 “가끔 지하철 타다 보면 나는 그런 냄새”에 비유한다. 마찬가지로 이 작품에서도 “영원하다는 건 어떤 거야?”, “죽는다는 건 어떤 거야?” 같은 대사보다 이에 대한 독창적인 비유가 있어야 했다.
감독이 밝힌 것처럼 이 작품의 키워드가 두려움이었다면, 영생이 왜 두려운 미래인지에 대한 메타포가 있어야 했던 것이다. 매일 골수를 뽑는 서복의 고통은 영화적인 설정일 뿐 영생이 두려운 이유를 비유하진 못한다. 두려움은 서복을 제거하려고 하는 악역들의 명분으로 소모될 뿐이다.
메타포가 부재한 SF물에는 화려한 클리세만 남는다. 감독의 담백한 연출이 되레 진부하게 다가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나마 눈에 들어오는 건 배우의 연기인데, 그나마도 인상적인 편은 아니었다. 박보검의 순진무구한 복제인간 연기는 ‘응답하라1988’의 기시감을 벗어나지 못했다.
복제인간이란 고작 히어로를 만드는 데 써먹을 소재가 아니다. 이왕 복제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다면 보다 깊은 고민을 다뤘어야 했다. SF라고 해서 반드시 장황한 설정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작고 사소한 내러티브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방대한 세계관일수록 개연성과 흡인력은 옅어지기 마련이다. 스케일의 강박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비유로 미래를 그려내는 상상력, 국내 SF 장르에서 필요한 건 이런 게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