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몹시 고픈 늦은 오후, 지하철 역에서 나와 집으로 가던 중 삼겹살을 사오라는 전화를 받았다. 정육점에서 삼겹살을 사고 입속으로는 군침을 삼키며 신나게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맛있는 삼겹살을 기대하며 들떴던 기분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길을 가던 중 마주치게 된 한 할아버지 때문이었다. 그 할아버지는 골목을 다니며 손수 모으셨을 폐박스가 실려 있는 리어카를 힘겹게 끌고 계셨다. 헌데, 그 할아버지와 리어카가 내 바로 옆을 지나가는 순간 나도 모르게 마음이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하루종일 저렇게 폐휴지를 모아서 과연 얼마를 버실 수 있을까?" "내가 지금 들고 있는 삼겹살, 저 할아버지는 이 삼겹살을 드셔본 지 얼마나 오래 되셨을까?"

어머니는 운전을 하고 계셨고, 나는 조수석에 앉아 있었다. 횡단보도를 지나가려는 도중 무거운 행상을 한껏 짊어진 아주머니 한 분이 무단횡단을 하시고 계셨다. 어머니는 급제동을 하며 신경질적으로 경적을 울렸고, 그 아주머니는 무단횡단이 미안했던지 우리 차를 향해 멋쩍은 웃음을 지으며 걸음을 옮겼다. 무거운 짐을 양 손에 한가득 든 채 힘겹운 걸음을. 어머니는 뭐 저런 사람이 있냐며 투덜거리며 넘어갔지만, 내 뇌리에는 아직도 그 아주머니의 멋쩍은 웃음이 잊혀지지 않는다. 분명 어머니와 같은 또래의 한 아주머니. 양 손에 무거운 짐을 든 채 분명 중앙차로에 있는 버스정류장을 향해 가고 있었던 그 아주머니의 표정에는 힘겨운 주름이 가득했다. 같은 또래의 두 아주머니였지만 어머니는 음악을 들으며 자가용을 몰고 있었고, 아주머니는 무거운 짐을 든 채 버스를 타려고 힘겹게 힘겹게 걸음을 옮기고 있었다.

니체가 대표적인 안티크리스트로 뽑히는 까닭은 단순히 그가 기독교의 도그마틱한 신의 진리를 믿지 않아서가 아니다. "신은 죽었다"는 말은 니체가 한 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가 이런 말을 직접 했던 적은 없었으며 단지 그의 저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등장했던 대사의 한 마디였을 뿐이었다(물론 '신은 죽었다'는 말은 니체 사상의 큰 줄기를 이루지만 단순히 안티크리스트 차원에서 보자면). 이처럼 그가 그리스도교를 혐오했던 까닭은 단순히 신이 있고 없고, 기독교적 진리가 맞고 안 맞고 차원의 문제가 아니었다. 

그가 진정으로 싫어했던 것은 우리나라 말로 '공감'으로도 번역되는 sympathy, 다른 말로는 연민의 감정이었다. 그는 '보통의' 사람들이 갖는 보편적인 연민의 감정을 혐오했다. 연민의 감정이야말로 열등하고 무능하고 뒤쳐지는 대중들이 갖는 패배의식이라 생각했다. 문제는 그리스도교(불교를 비롯한 대개의 종교들이)의 윤리가 이러한 보편적 감정에 기초한다는 사실이다. 남이 당하는 고통을 보고 마음이 아파진다는 의미의 공감은 어느 정도까지는 인간에게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감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가 말하는 윤리에는 이 보편적 공감이 들어설 자리가 전혀 없다.

대신 그는 영웅을 찬양한다. 그가 찬양하는 영웅적 인간 '위버멘쉬'는 대개의 사람들이 갖는 보편적 감정에서 벗어나, 아니 보편적 감정을 극복하고 열정적이고 진취적은 삶을 쟁취하는 초인이다. 시시한 사람들은 시시하게 고통스러워하지만, 영웅과 같은 위대한 사람들은 위대하게 고통을 감내하며 위대한 수난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 그리스도교나 보편적 감정이 바라는 고통의 부재는 순전히 부정적인 이상이며, 오로지 니체가 예를 들고 있는 알키비아데스, 프리드리히 2세, 나폴레옹과 같은 사람만이 그 위대한 수난을 감내하는 고귀한 존재들인 셈이다.

어쩌면 니체는 맞는 말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삶에 있어서 고통의 부재를 바라는 건 허무한 일일 뿐이다. 고통과 슬픔 없는 삶은 없다. 종교에서 말하는 사랑은 단지 이런 고통과 슬픔에 대한 동정심에 불과하다. 니체에게 있어 사랑의 원천은 동정심, 연민의 감정인 셈이다.

개인적 고통에 접근해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불가능하다. 그런데 동정은 고통으로부터 개인적 특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동정하는 자는 원수 못지 않게 우리의 의지와 가치를 박탈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동정을 과시하는 사람은 고통의 필요성 즉 우리가 그것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이익을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빈곤과 박탈, 위험과 모험, 실수 등의 불운이 그 반대의 사항만큼이나 '개인적인 필요'를 가진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동정하는 자들은 불운이 한 존재를 구성하는 경제에 필수적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가 새로운 동기와 이유를 얻고, 오래된 상처를 치유하며, 과거 전체를 벗어던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도무지 개의치 않는 것이다.

-how to read 니체 중-

이처럼 니체는 고통과 불운이 인간의 '개인적인 필요'를 가진다고 말했다. 즉 고통은 그 인간이 필연적으로 감내해야 할 과제이자 필요인 셈이다. 그리고 그 인간은 극복의 과정을 통해 고귀한 열정적 삶을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삶의 처음부터 끝까지 고통과 불운 속에 살았던 한 인간이 있다고 치자. 그렇다면 그 인간에게 고통은 단순히 필요였을까? 필요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스스로가 그 고통을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에 결국 열등한 존재로 끝이 났던 것이었을까? 그 인간에게 고통이란 걷어냈어야 할 어떤 것이었다면?

니체는 인류의 보편적 사랑을 경멸하고, 이 사랑이야말로 동정심으로부터 연유된 나약한 심성이라고 여겼다. 물론 사랑의 원천이 고통에서 비롯된 동정심이라는 니체식의 인식 그 자체도 많은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 부분이겠지만, 이를 차치하더라도 동정심 혹은 연민의 감정을 니체의 표현 그대로 시시한 사람들의 훌쩍거림으로 치부할 수 있을까.

니체의 반대편에 서려면 동정심, 다르게 말하면 인간들이 갖고 있는 보편적인 감정들 또한 위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 니체는 나폴레옹 같은 정열적인 영웅들을 노래하지만, 사실 우리 주위에는 사랑의 영웅들도 많다. 인류의 죄를 짊어진 예수부터 최근 우리 곁을 떠난 고 김수환 추기경이나 고 법정스님, 혹은 지진의 참사에서 한 생명이라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던 구조대원들, 스스로 아프리카 오지를 찾는 열혈 의사들 등. 사람들은 나폴레옹 같은 강렬한 영웅에게 박수를 보내지만, 김수환 추기경 같은 사랑의 영웅에게는 머리를 조아린다.

니체가 추구하는 정열의 삶이 인간사를 수직으로 뻗쳐 가른다면, 예수와 같은 사랑과 동정심의 삶은 모든 인간들을 횡으로 아우른다. 고통의 극복, 이를 통해 쟁취할 수 있는 진취적인 삶도 물론 고귀하지만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감정이야말로 지금의 인류의 모습을 가능케 했던 인간사의 가장 근본적인 토대가 아니었을까. 또 사랑이야말로 니체의 궁극적 목적인 '니힐리즘의 극복'을 이룰 수 있는 인간의 위대한 힘이 아닐까.

함께 살아가는 삶에 더 가치를 두는 것, 우리에게 더욱 절실히 필요한 건 이런 자세가 아닌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중요한 건 오로지 '나'만의 성공이다. 나를 둘러싼 사람들은 그저 '나'가 밟고 이겨야할 상대들일 뿐, '경쟁'이라는 번지르르한 말 뒤에 숨겨진 치졸한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철저하게 파편화된 개인들로 이루어진 지금의 사회는 어쩌면 니체가 말하는 열정적이고 도전적인 삶이 가장 현실화된 모습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위버멘쉬, 초인들로만 이루어진 사회. 연민의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무능과 열등감에서 오는 고통을 그대로 감내할 줄 알며 오로지 자신만의 앞을 향해 달려나가는 그런 사회. 어쩌면 니체의 긍정적 이상은 바로 오늘날 바로 이 자리에서 실현되었다. 영웅들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역설적으로 영웅은 찾아볼 수 없는 이 사회에서 말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