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과되고 정제되는 과정은 생각보다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이성을 통해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고 그것을 표현한다. 이성이라는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은 말들은 배설에 가깝다. 분노나 흥분상태가 극에 달했을 때 나오는 정제되지 않은 말이나 욕설은 그 순간만 지나도 그렇게 말한 걸 후회할 만큼 무의미한 것들이다. 때로는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까지 한다. 여과의 과정이 없는 표현은 의미 전달이 아니라 오히려 폭력에 가깝다.

기존의 미디어에서는 ‘데스크’라는 게 여과와 정제의 역할을 담당했다. 기자가 생산해내는 정보를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기자가 사력을 다해 뜨거운 특종을 잡아오더라도 데스크는 그것을 차갑게 검증했다. 오보라는 건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건 언론기관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였다. 종이신문에서는 단순히 오탈자를 수정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비용이 들었다. 그만큼 미디어의 정보라는 건 단번에 정확하게 완성되어야 했고, 이를 위해 정보를 정제하는 중간역할이 중요했다.

하지만 오늘날의 정보사회에는 중간과정이 없다. 무엇이든 즉각적으로 만들어지고 완결되는 시대다. 생산자가 곧 소비자가 되고 소비자가 곧 생산자가 되었다. 모두가 생산자인 시대에서 뭔가를 걸러내고 정제하는 역할은 존재하지 않는다.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 전에 누군가에게 검토를 받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지루할 정도로 세밀한 자체 검증을 하는 것도 아니다. 오탈자가 있어도 일단 포스팅을 하고 나중에 그때그때 수정하면 그만이다. 유튜브도 마찬가지다. 내가 만든 영상을 그대로 업로드하면 끝이다. 더 나아가 유튜브 ‘라이브 방송’은 아무런 여과 없이 실시간의 화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한병철은 이런 과정을 “탈매개화”라고 말했다. 모든 것들이 필터링 없이 즉각적으로 만들어지고 즉각적으로 수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의 지적대로 이런 현상은 많은 분야에서 대중화를 진행시킨다. 모든 것이 저속화되고 평이해지는 하향평준화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사에 달리는 댓글만 봐도 재밌고 참신한 말들 보다는 상스럽고 지저분한 말들이 대부분이다. 댓글이란 건 기사를 보고 일어나는 감정을 즉각적으로 뱉어내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을 달면서 진지하게 숙고하는 수고를 들이는 사람은 없다. 아무런 필터링 없이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그건 의미 전달이 아니라 배설에 가까울 뿐이다.

1인 미디어의 도래는 커뮤니케이션의 혁신을 일으키고 콘텐츠를 풍요롭게 만들 것이라는 예견은 틀린 셈이다. 여과되고 정제되는 과정 없이 생산된 정보들은 그때그때 소진되고 만다. 이런 정보는 즉각적인 감정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인스타그램, 트위터 같은 건 업로드되는 순간 바로 보여지고 지나갈 뿐이다. 이것을 두고두고 보는 사람은 없다.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뭔가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만큼 휘발성도 강해졌다. 순식간에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지속성이 없다는 건 그만큼 가치가 없다는 걸 의미한다. 새로운 시대에서 정보의 양은 압도적으로 많아졌지만 양질의 정보, 그러니까 정제된 의미를 찾는 건 더 힘들어진 셈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