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제는 조선의 정치를 당쟁의 역사로 규정했다. 반도라는 지리적 환경에서 파쟁적인 민족성이 형성되었고, 이 선천적인 파쟁성 때문에 정치적 능력이 결여되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조선 말기에 등장한 사회적 모순들은 당파싸움보다는 오히려 그 반대격이라 할 수 있는 소수의 권력 독점에서 연유되었다고 보는 편이 맞을 거다. 열강이 침략하기 전 19세기의 조선은 소수 가문의 세도정치로 극심한 부패와 부조리를 겪고 있었고, 그 세도정치를 유발시킨 건 당쟁이 아니라 강력한 중앙권력의 변질이었으니까. 정조가 대왕이란 칭송을 받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세도정치의 원흉이라는 평가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아무런 견제책이 없었던 중앙권력이 소수의 위정자에게 넘어갔을 때 이미 조선의 운명은 다한 셈이었다.

[2] 최근 들어 남남갈등이 걱정이란 말을 많이 한다. 남북갈등에 대비되는 남한의 내부적 갈등·분열을 가리키는 말인데, 외부의 적이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마치 내부의 이견, 대립을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병폐로 여기는 듯한 늬앙스 때문에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진다. 사실 갈등이 존재하는 건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다. 주변과 중심, 진보와 보수, 남녀, 세대 간의 갈등은 어느 사회나 존재한다. 한국이라고 해서 유난히 갈등의 골이 깊은 것도 아니다(적어도 인종, 민족, 종교적인 갈등은 없다). 혹자는 국회의원들을 보고 싸움질이나 하는 족속들이라며 조소하지만 원래 의회란 싸우고 투쟁하는 곳이 맞다. 다양한 이해관계와 갈등을 원내로 수렴해서 조정하는 게 의회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의회가 대립과 견제 없이 사이좋게 한 목소리를 낸다면, 바로 그건 공산당 대의원 대회와 다를 바 없을 거다. 그래서 양당제 혹은 다당제가 운용되는 것이고 대립, 갈등, 견제가 현대 정치의 본질을 이루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남갈등이란 희한한 수사로 내부의 갈등을 병리적 현상으로 치부하는 건 그만큼 취약한 자기 정당성을 은폐하기 위해 외부의 위협을 부각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니 남파 간첩들이 남남갈등을 조장한다는 어이없는 소리를 입밖에 낼 수 있는 거다. 반대로 생각해서, 사회 내에 남남갈등이 존재하지 않고 다같이 한 목소리만 낸다고 하면 북한이나 남한이나, 김정은이나 박근혜나 다를 게 뭐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