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라가 가루가 되도록 까이는 건 기회의 불평등때문이다. 입시 시스템을 뛰어넘는 사유화된 권력의 힘으로 명문대에 부정입학을 했다는 점이 공분을 사고 있지만 사실 그 입시 시스템 자체에 대해서도 한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승마 하나만으로도 대학(명문대를 포함한) 입시가 가능한 현재의 시스템말이다. 승마는 엘리트 중에서도 엘리트스포츠다. 비용부담마저도 크기 때문에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구경조차 힘든 스포츠다. 대중화된 종목도 아닌 건 당연할 뿐더러 그렇다고 어떤 전통체육으로서 맥을 이어야 하는 종목에 속해 있는 것도 아니다. 한 마디로 이곳에서는 굳이 많은 비용을 들여가며 육성해야 할 가치가 있는 스포츠 종목이 아니다. 그럼에도 국가나 기업, 유류의 대학들까지 승마를 붙들고 있는 이유는 딱 한 가지다. 국제대회에서 성적을 내기 위한 엘리트체육인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때문에 장시호든 정유라든 승마 하나만으로 유명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던 바로 지금의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었던 거다.

여기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번째는 극소수만을 위한 엘리트스포츠 종목이 사회적 비용으로 유지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다. 이런 종목들이 유지되면서 수혜를 입는 사람은 이 종목의 학생과 교수뿐이다. 사실 그마저도 학생이 교수가 되고 다시 새로운 학생들이 들어오는 단촐한 과정이 반복될 뿐이다. 이런 극소수를 위해 사회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감수해야하는가는 한번 고민해 볼 문제다. 두번째는 승마 같은 고비용 엘리트스포츠는 높은 진입장벽때문에 자체만으로도 기회의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점이다. 억 단위가 넘어가는 말을 산다는 건 사실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는 와닿지 않는 현실이다. 그만큼 승마 같은 고비용 스포츠는 과거의 기부입학처럼 돈으로 대학을 갈 수 있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