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나이가 들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끔 만드는 것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먹먹하게 다가오는 건 운명론, 종교 등에 대한 태도가 바뀐다는 것이다. 스무 살의 나에게 운명론이나 종교에의 귀의 같은 건 안중에도 없었던 것 같다. 의지만 갖는다면 어떤 것이든 다 가능하게 만들 수 있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자유의 시간이었고 선택의 시간이었다. 마치 광활한 초원에서 미지의 첫발을 내딛는 순간처럼. 하지만 그런 미지의 초원 같은 삶의 공간들, 비어있는 것과도 같은 그 공간들은 시간이 갈수록 책임이라는 무거운 영역으로 채워지게 된다. 점점 선택의 여지는 줄어들고 지금까지의 선택에 따른 결과에 얽매이게 되는 것이다. 말 그대로 얽매이는 것, 자유롭지 못하고 묶여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점점 어려워진다. 삶을 사는 것이 어려워진다. 나이가 들수록 무언가를 결정하는 것이 얼마나 부담스럽고 쉽지 않은 일인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전에는 자유라는 것을 만끽했다면(사실 만끽하는 법조차도 모른 채 그저 겁 없이 온몸으로 맞아들였을 뿐이지만), 지금은 자유라는 게 괴로울 지경이다. 책임과 결과라는 그 무거운 무게를 조금씩 알아가고 있는 시점에 있기 때문이다.

종교와 인간이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건 이런 이유에서다. 종교와 같은 운명론은 앞서 말한 책임, 결과에서 비롯되는 중압감을 덜어준다. 그것도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그냥 믿어버리면 된다. 내가 선택을 하고 내가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게 아니다. 모든 것은 절대자의 의지대로 이루어질 뿐, 나는 그냥 그 순리대로 살아가기만 하면 된다. 책임과 후회 따위는 필요 없다. 어차피 십자가를 짊어지는 건 내가 아니니까.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종교를 마약에 비유하기도 한다. 나의 삶에 대한 나의 책임에서 한 발짝 물러설 수 있는 편리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마약 없이 삶의 고통을 맞닥뜨리는 것은 정말 어렵고 버거운 일이다. 어떻게 보면 지금의 시기가 가장 힘든 때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무한한 자유를 가진 젊음의 시기와 삶의 무게에 체념하고 오히려 익숙해지는 노년의 시기, 두 지점의 가운데에 있는 시기가 바로 지금의 순간인 것 같다. 이제 어떤 것을 택하느냐에 따라 되돌아오는 그 무거운 중압감을 알게 되었음에도 여전히 내가 택해야만 하는 가능성들 앞에서 무겁고 외롭게 남겨져 있는 그런 상태. 정해진 답도 없이 오로지 결과와 책임만이 뒤따르는 것. 역시 쉽지 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