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당제, 양당제에 관한 논쟁이 뜨거운 건 그만큼 지금의 정치권에 대한 사람들의 불만이 크다는 걸 보여주는 일이다. 민주화 이후 대략 30년의 시간이 지났다. 물론 이 시간 동안 진일보한 면도 없지는 않다. 일정 수준 합리적이고 투명해진 건 사실이다. 하지만 정치권에 대한 불신은 여전히 팽배해 있다.

노회찬이 비유했던 것처럼 불판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람도 바꿔보고 선거제 같은 여러 제도들도 바꿔봤지만 거대 양당의 독식 구조는 바뀐 적이 없었다. 그렇다면 그 다음에 해야 할 일은 뻔하다. 양당제를 바꾸는 것이다. 기존의 양당제를 손보고 새로운 다당제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양단제와 다당제가 갖고 있는 각각의 장단점. 물론 숙고해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달리 보면 모두 이론화된 공식일 뿐이다. 그것이 현실에 적용되는 순간 어떤 결과가 도출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단지 계속 시도해볼 수밖엔 없다. 부작용에만 집착하면 그 어떤 것도 개선될 수 없다.

서구가 우리보다 성숙한 정치 수준을 갖고 있는 건 민족성 같은 어떤 성향이 우리와 달라서가 아니다. 우리보다 많은 역사와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당연히 여겨지는 이데올로기들, 이를테면 민주주의, 자유주의, 자본주의 같은 담론들을 만들고 다듬기까지 그들은 오랜 시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만든 것을 그대로 차용했을 뿐이다. 답을 찾아갔던 게 아니라 처음부터 답이란 게 주어져 있었던 것이다. 우리에게 부족한 건 정확성이 아니라 시행착오다. 새로운 시도를 주저해선 안 된다.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면서 과정을 통해 우리만의 어떤 지점을 찾아야 하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