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론. 나에게는 너무 낯익은 주제라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지만, 기생충도 설국열차와 마찬가지로 일차원적인 메타포에 가까웠던 것 같다. 기생충에 나오는 아랫동네 반지하 빌라부터 윗동네 대저택까지의 수직적 계층질서는 설국열차에서 봤던 맨 뒤 꼬리칸부터 맨 앞 엔진칸까지의 직선적 도식을 위아래로 세워둔 것과 다를 게 없다. 위쪽에 있는 상류층과 아래쪽에 있는 하층민. 사실 동어반복에 가까운 표현을 메타포라고 하기에는 좀 직접적인 비유가 아니었을까 생각이 든다.

봉테일. 큰 줄기에서의 메타포는 (내 기준에서) 약했지만, 디테일은 역시 볼만 했던 것 같다. 예를 들어 가족들이 바퀴벌레 농담을 하다가 얼마 뒤에 바퀴벌레와 똑같이 테이블 및 그늘에 숨어들어가던 것처럼, 여러 가지 복선들, 그것과 이어지는 비유적 표현들, 보는 이에 따라서 얼마든지 중의적인 해석이 가능한 여러 장치들, 그리고 이 모든 걸 엮어내는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력과 정교한 미장센까지. 더할 나위 없는 완성도를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황금종려상. 유럽에서 호평을 받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갖춰야 한다. 하나는 당연한 이야기지만 작품의 완성도고, 다른 하나는 인간 이면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그려내는 주제의식. 여기서 인간의 본성이란 인간이 꾸며내는 가식과 대비될수록 좋다. (과외 장면에서 pretend란 단어가 등장했던 것도 같은 맥락인 것처럼) 그만큼 유럽인들이 갖고 있는 깊은 내면의 죄의식, 자괴감 같은 걸 건들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이성, 문명, 성숙함을 다 갖춘 것처럼 보이는 그들이지만, 사실 그들은 본인의 뿌리가 야만족으로부터 기원됐다는 역사적인 열등감 그리고 제국주의, 세계대전, 글로벌 무역구조의 가해자라는 자책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가식의 가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작품일수록 자조적인 때로는 자기반성적인 찬사를 보내는 것이다. (홍상수의 작품에 열광하는 것처럼) 그런 맥락에서 기생충은 유럽에서 호평을 받기 위한 조건들을 정확히 충족시켰다고 볼 수 있다.

엔딩. 여기에 대해선 여러 반응이 있지만, 나는 답답하게 끝나는 게 좋았다. 클라이막스가 의외로(?) 뜨거웠던 만큼 다시 차가운 엔딩으로 돌아와서 좋았던 것 같다. 갑자기 해피엔딩 비슷하게 끝이 났다거나 조금이라도 희망적인 메시지 같은 게 있었다면 지금의 뒷맛은 없었을 것이다. 블랙코미디란 장르에 충실했던 것 같다. 한바탕 코믹한 풍자가 벌어져도 마지막엔 다시 처음의 자리로 되돌아오는 것. 그게 블랙코미디이기 때문이다. 반지하에서 시작해서 저 위의 대저택까지 올라갔지만 다시 반지하의 자리로 되돌아오는 것. 그 현실의 무게감이 그대로 답답하게 남을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