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킬로그램의 하중을 견디게 설계하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학교나 강당은 하중을 훨씬 높게 설계하고, 같은 층이라도 푸드코트는 사람들 앉는 데랑 무거운 주방기구 놓는 데랑 하중을 달리 설계해야 되고, 항상 외력보다 내력이 세게.. 인생도 어떻게 보면 외력과 내력의 싸움이고. 무슨 일이 있어도 내력이 있으면 버티는 거야.”

내 인생 드라마 ‘나의 아저씨’에 나오는 대사 중 하나. 사실 건물과 사람은 같을 수 없다. 건물은 안과 밖을 나누는 단단한 벽이 존재하지만, 사람에게는 그런 게 있을 수 없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시간, 환경, 사람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사람은 자기 밖에 있는 모든 것들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에게는 내력이 건물의 외벽처럼 바깥의 경계에 있어서는 안 된다. 사람의 내력은 자기 자신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마치 자두나 복숭아처럼 말랑말랑한 껍질과 과육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 중심에는 단단한 씨앗을 품고 있듯이.

튼튼한 구조를 갖고 있는 건물은 어떤 외력에도 무너지지 않는 것처럼 자기 중심이 확고한 사람 또한 어떠한 외부의 영향에도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자기 중심을 세우지 못한 사람일수록 약한 충격에도 쉽게 무너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연예인이라도 유독 악플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들이 있다. 사실 악플이란 게 그만한 가치나 의미가 있는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분노와 좌절 속으로 스스로를 가두는 것이다. 일반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감정기복이 심한 사람일수록 타인의 말 한 마디에 일희일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사람은 삶에 대해 주체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가 없다. 항상 타인의 시선에 사로잡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자기만족에만 충실한 것도 답이 될 수는 없다. 일단 혼자 사는 삶이 아닌 이상 기본적인 자기객관화는 필수적이다. 제 아무리 행복을 위한 각자만의 방식이 있다고 한들, 환각에 히죽거리는 마약중독자를 보며 진정한 행복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또 아무리 자기만족이 전부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현실적 요건들이 있기 마련이고, 이를 무시하고 살 수는 없는 일이다.

무엇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자기만족이라는 것도 결국에는 타인에 의해 구성된 욕망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싼 외제차나 명품가방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과시적 소비를 하고 있다는 시각에 대해 크게 동요하지 않는다. 자기만족보다 중요한 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소비에서 순수한 자기만족을 찾는 건 쉽지 않다. 일단 명품을 원하게 된 이유 자체가 상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보다는 그것을 소비함으로써 얻게 되는 우월감, 과시욕에 있기 때문이다. 유행이란 것도 마찬가지인데, 소비사회는 개인이 순수한 만족을 느끼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계속적으로 유행을 만들고 소진시키는 걸 반복하면서 개인이 계속해서 새로운 (사실 반복일 뿐인) 욕망을 갖도록 만든다. (법정스님이 중심에 살수록 새롭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건 전공이나 직업 선택, 라이프 스타일, SNS 활동 등 삶의 모든 게 마찬가지다.

결국 내가 아닌, 타인들의 세계를 좇는 건 껍데기만 따라다니는 공허한 일이다. 사람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자기 자신을 찾는 과정이다.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타인과 외부를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가운데서도 어떻게 자기만의 것을 만들고 다져나가야 하는지, 그리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지. 이런 과정에 대해 계속 고민하고 관조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