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사회는 이분법의 세상이었다. 나와 타자, 개인과 사회로 양분되는 세상 속에서 타자(사회)는 나(개인)를 억압해왔다. 봉건귀족이 농민들을, 제국주의가 원주민들을, 파쇼세력이 자유민들을, 자본가가 프롤레타리아를 억압했다. 사회, 정확히 말해서는 외부의 지배세력이 개인을 통제하고 착취했던 것이다. 따라서 개인은 외부의 적을 상정할 수밖에 없었다. 불합리한 세상을 바꾸려면 외부의 지배세력을 무너뜨려야 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사회도 마찬가지였다. 봉건왕정, 일본제국주의, 군부독재정권으로 대물림되었던 지배세력은 쉼 없이 한국의 개인을 억압해왔다. 그리고 개인은 그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했고 결국 그들을 끌어내렸다. (‘완전하게 끌어내렸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겠지만, 일단 피상적인 상황만을 놓고 봤을 경우 이렇게 이야기한다고 해서 큰 문제가 있을 것 같진 않다.)

어쨌든 근대의 개인은 그렇게 성장했다. 그리고 그렇게 자유를 성취했다. 자신을 억압해오던 거대한 외부의 존재로부터 억압받았던 자유, 빼앗겨있었던 자유를 되찾아 온 것이다. 간단히 말해, 그동안 개인은 외부의 존재, 즉 타자를 통해 성장했던 것이다. 자신과는 완전히 다른 경계에 있는 어떤 타자를 상정하고 그를 부정하고 비판하는 가운데 자신을 확장시켜왔다.

그런데 지금은 외부의 존재가 사라졌다. 자유를 뺏고 억압해오던 거대한 외부의 적은 이제 없다. 과거의 투쟁적인 삶은 자취를 감췄고, 단지 소비하는 현대인의 삶만 있을 뿐이다. 한병철의 말대로 외부의 지배기구로부터 통제를 받아오던 ‘규율사회’는 사라지고 개인 스스로를 착취로 몰아가는 ‘성과사회’가 도래한 것이다. 이제 개인을 억압하는 건 외부의 지배세력이 아니다. 개인을 억압하는 건 성과를 향한 그 자신의 욕망과 이상이 되었다. 더 이상 외부의 대상을 부정하고 저항하는 방법으로는 억압과 착취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다. 개인을 강제하고 규율하던 외부의 대상은 이제 없기 때문이다. 문제라는 건 이제 사회나 바깥에 있는 게 아니라, 오롯이 ‘나’에게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사회는 여전히 이분법적 사고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문제’라는 건 오로지 타인에게만 존재한다. 독재정권, 지배세력에 저항해왔던 과거의 사유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부의 적으로 상정할 실체가 사라지자 이를 대신하는 가상의 적을 설정하고 이들을 공격하기 바쁘다. 극단주의가 기승을 부리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가상의 적을 설정하다보니 보수든 진보든 서로의 타겟은 극단주의적 사상에 맞춰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소위 말해 진보라 불리는 지식인들의 문제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들은 자아성찰적인 태도를 상실했다. 아니, 상실했다는 말은 옳지 않다. 상실은 가졌던 것을 잃었을 때 쓰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아성찰적인 태도를 가진 적이 없다. 원인을 항상 외부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더 이상 외부의 상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끊임없이 가상의 적을 설정하고 모든 책임을 그것에 돌릴 뿐이다. 과오는 외부로 돌리고 스스로 완전무결의 상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들은 일종의 나르시시즘에 매몰된 셈이다. 불행하게도 자아도취에 빠진 사람은 자기발전을 할 수가 없다. 이들은 외부로 확장되는 게 아니라 내부로 축소될 뿐이기 때문이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서 마지막 단계는 자아실현의 단계를 말한다. 그 이전 단계들, 3번째의 사회적 욕구, 4번째의 자아존중의 욕구 단계에서 필요한 건 타자의 존재다. 타자의 인정과 존중을 받을 때 이 욕구가 충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해서 타자만을 필요로 한다면 최종적인 단계인 자아실현의 단계로 나아갈 수 없다. 나르시시즘적인 태도를 버리고 진정 ‘나’의 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을 때 비로소 마지막 단계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한 건 ‘나’를 문제 삼는 것이다. 스스로 반성하고 자각하는 것밖엔 방법이 없다. 문제는 더 이상 사회에, 외부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자아성찰을 갖춰야만 비로소 외부로의 확장 가능성이 열린다. 진정한 의미에서 성장이란 바로 이런 걸 말한다. 자아도취에서 벗어나 열린 주체가 되는 것, 단순한 반작용이 아니라 새로운 생성의 길이 열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