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기분을 짧게 이야기하자면, 잘난 척을 하는데 잘난 게 맞기 때문에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는 기분이랄까. 게이치로는 단지 내면의 명령에 따라 쓸 수밖에 없는 것을 썼을 뿐인데, 나 같은 범인은 그것을 잘난 척으로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왜 잘난 척이라고 느꼈을까 싶은데, 그건 아마 작가의 여유 때문이었을 것이다. 실험을 할 수 있는 여유랄까. 장편 한 권을 탈고하는 과정에도 사력을 다해야 하는 범인들과 다르게 히라노 게이치로는 천오백 페이지가 넘는 분량과 방대한 참고 서적으로 일련의 문학적 실험을 단행했기 때문이다. 문학의 종말을 이야기하는 현 시점에서 문학이 정점에 있었던 시대로 돌아가보려 했다는 그의 의도를 돌이켜보면 그가 왜 천재라고 평가받는 건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이전 작품들과는 완전히 달라진 문체에서 오는 낯섦도 이해가 되고.

두꺼운 책이지만 내러티브의 은근한 재미도 괜찮았고 인물의 독백을 빌려 이야기하는 작가의 사색적 묘사 때문에 지루하지만은 않았다. 스킵하고 싶은 유혹이 일 정도로 간간히 난해한 표현도 많았지만, 인내하고 읽다보면 나름대로 남겨지는 것도 있었다. 아무리 고운 가루라도 체에 거르면 또 뭔가가 남는 것처럼(인내하며 정독하는 건 작가 스스로가 '책을 읽는 방법'에서 강조한 독서법이기도).

쇼팽과 들라크루아라는 당대 최고의 음악가와 화가를 통해 그려내는 작가의 예술론, 미학적 관념들은 천천히 음미해볼만 내용들이고, 들라크루아가 실토하는 천재론은 순전히 작가 개인의 고백인 것 같아 흥미로운 부분이기도 했다. '달'이나 '일식' 같은 기존의 작품처럼 메모해 놓고 싶을 정도로 유려한 묘사의 소절도 많았다. 양이 많아지면 그만큼 밀도는 낮아질 것만 같은 고정관념을 무색케 할 정도로.

왠지 천재라는 말은 성실함, 노력 같은 개념들과 어울리지 않는다. 천재란 왠지 게으르고 단명하고 나약한 이미지이기도 하니까. 작중의 쇼팽과 같이. 하지만 히라노 게이치로는 천재이지만 동시에 끈질기고 원대하기까지 하다. 독자 입장에서는 다행스러울 뿐. 들라크루아의 고뇌처럼 천재가 쉬지 않고 작업에 열중해야 하는 건 내면적인 강박 때문만이 아니다. 작품을 기다리는 나 같은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