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은 피할 수 없다. 고통은 의지와 상관없이 찾아온다. 아무리 주의하고 대비한다고 해도 고통을 피하는 건 불가능하다. 세상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그나마 위안 삼을 수 있는 건 고통이 무익함만을 남기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거창하게 니체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고통은 의외의 기능을 할 때가 많다.

고통은 일상을 환기시킨다. 고통이 없다면 일상의 가치를 알 수 없다. 하지만 고통을 겪은 사람은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당연하던 게 당연하지 않았던 기억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고통을 겪은 사람은 일상에 안도하는 법을 알게 되는 것이다. 아무리 단조로운 일상이라도 그것이 주는 평온함을 알게 된다.

사람들은 코로나를 겪은 후에야 친구들과 모여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사실에 기뻐할 수 있었다. 이전에는 당연하던 게 당연하지 않아졌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사람들과의 만남을 새롭게 환기시켰던 것처럼 일상이 단절되었던 기억은 일상을 소중하게 만든다.

그래서 일상을 더 적극적으로 누리려고 한다. 모임을 좋아하지 않던 이들마저도 사적 모임 제한이 풀리자 약속을 잡고 사람을 만나려 한다. 고통에 대한 보상심리로 일상을 보다 의미 있게 채우려 하는 것이다. 고통이 삶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가 되는 셈이다.

인간이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 건 많지 않다. 경험하기 전에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면 그건 인간이 아니라 신에 가까운 존재일 것이다. 나이 들기 전에는 절대 젊음의 가치를 자각하지 못하는 것처럼 인간은 직접 겪기 전엔 깨닫지 못한다.

가정적이지 않던 사람이 암 같은 질병으로 죽을 고비를 넘긴 다음부터는 가족을 끔찍하게 여기는 사람으로 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단절되었던 기억, 잃어버릴 뻔한 기억만이 일상을 환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웨이트트레이닝은 근육에 상처를 만드는 작업이다. 손상된 근육이 재생되면서 부피가 증가할 때 근육이 커지기 때문이다. 결국 근육을 커지게 만드는 건 상처다. 상처가 나고 그것이 아무는 과정이 근육을 키우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삶을 키우는 것도 고통이라고 보면 된다. 손상된 근육이 부피를 팽창시키는 것처럼 축적되는 고통의 경험이 삶의 층위를 두텁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삶의 변곡점이 되는 건 쾌락이 아니라 고통의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