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부쩍 재롱을 떤다. 손뼉을 치거나 주먹을 오므렸다 펴면서 어른들의 눈치를 살핀다. 아무 분간도 못하던 아기가 이제는 타인의 반응을 기대하는 것 같다. 어른들이 호들갑을 떨면서 칭찬을 해주면 아기는 더 신이 나서 계속 칭찬 받을 짓을 멈추지 않는다.
어른이 되는 건 이런 타인의 반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과정인 것 같다. 아이를 움직이게 하는 건 보호자의 반응이다. 하지만 어른이 되면 아이 때처럼 나를 계속 지켜보며 칭찬하거나 혼내주는 사람이 없다. 혼자 판단하고 혼자 만족해야 한다. 매슬로우의 최종단계, 자아실현처럼.
진짜 어른은 누가 보든 말든 한결 같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보는 이가 없어도 자신의 기준에 따라 행동하고 자기 의무를 다한다. 보행자도 차도 아무도 없는 교차로에서 홀로 신호를 지키는 사람처럼.
나의 아저씨에서 이선균이 멋있었던 건 혼자 있을 때조차 한결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라마에선 도청 같은 극단적인 장치를 설정한다. 노출되고 있는지도 모르게 노출될 때가 제일 멋있기 때문이다.
뭔가를 오로지 기념하기 위해 SNS에 사진을 올리는 사람은 없다. 기념하는 게 목적이라면 사진으로 남기면 될 뿐이다. 굳이 SNS에 올릴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오마카세 식당에서 찍은 음식 사진을 SNS에 올리는 건 그순간을 기념하는 것보다 ‘나’는 원래 이런 곳을 찾는 사람임을 드러내고 싶은 심리가 기저에 깔려있다. 미식 자체를 즐기는 게 아니라 타인의 부러움이나 보여지는 자기의 이미지에 만족을 얻는 것이다.
결국 고급식당에 가거나 명품을 사서 SNS에 올리는 것과 아이가 보호자의 반응을 살피며 재롱을 부리는 건 같은 이유 때문이다.
다만, 아이가 재롱을 부릴 땐 반응을 학습하며 인지능력을 키우게 되는 반면 SNS를 하며 남는 건 박탈감과 ‘좋아요’의 숫자뿐이라는 사실, 그리고 아이는 보호자와의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반면 SNS에서는 방문자라는 실체없는 관계에 집착하게 된다는 데 차이가 있다.
SNS를 하게 만드는 인간의 본능들, 이를테면 관계의지, 연결감 같은 것들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자체가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그건 타인이나 외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구속되기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결국 SNS는 어른이 되는 걸 더디게 만드는 것이다.
사람들이 꽤 드나들었던 이 블로그도 지금은 조용하다. 포털에도 노출되고 댓글마다 논쟁이 붙었던 예전도 물론 재밌었던 것 같다. 하지만 지금처럼 보는 이 없는 블로그에 자조적으로 남기는 글들이야말로 진정한 나와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고요한 블로그를 채워나가는 것도 어른이 되는 하나의 연습이 될 수 있지 않을까.